아래의 글은 미국의 명문대 입학을 희망하는 한인학생을 위한 칼럼으로 한국에서도 미국의 명문대로 입학하기를 희망하는 학생들께 참고될 수 있으리라 발췌한 글임을 밝혀둡니다.

추천서 작성, 교사와 친밀한 관계가 중요

대부분의 사립대학들은 3통의 추천서를 요구하는데, 2개는 학교 선생님이 쓴것이고, 나머지 1개는 학교GC(Guidance Counselor,상담교사)가 작성한 것으로 이것을 보통SSR(Secondary School Report,보충리포트)이라고 한다.

대부분의 대학들은 어떤 과목 선생님으로부터 추천서를 받을것인지는 지원자의 결정에 맡기고 있다. 그렇지만 어떤대학들은 특정한 과목의 선생님들을 지정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MIT나 다른 공과대학들은 반드시 수학선생님과 과학선생님으로부터 추천서를 받아야 한다.이들 대학은 지원자의 수학과 과학능력에 대한 평가에 관심이 많기 때문이다.

SSR은 지원서에 딸려 있는 특정한 양식의 서류로서 학생들은 이것을 자신의 GC에게 주어서 작성을 부탁해야 한다. 학교마다 GC를 부르는 명칭은 다를 수 있지만 (Guidance Counselor, Advisor, College Counselor등)

기본 적으로 하는 일은 같다. 단, 학교마다 카운슬링 구조가 다르므로 학생들은 자신의 학교가 어떤식으로 카운슬링 제도를 운영하는지를 분명히 파악해서, 본인이 졸업반이 되었을 때 자신의 SSR을 작성해줄 GC가 누구인지를 알고 있어야 한다.

이정도면 학생들이 왜 자신의 학교 선생님들과 좋은 관계를 형성하기 위해 시간과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지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것이다.많은 학생들이 이일을 소홀히 생각하여 수업시간 외에는 자신의 선생님들과 진솔한 대화를 나눌 기회를 갖지 않는다.

SAT를 위한 과외와 공부에는 엄청난 시간을 투자하면서도, 자신을 위해 중요한 추천서를 써줄 선생님과 관계를 쌓기 위한 노력은 완전히 무시하고 있는 것이다.

필자가 입학사정관으로 일할때의 경험에 비추어 보면, SAT성적을 검토하는데 5초, 학교성적표를 검토하는데 50초가 걸리지만 교사 추천서를 읽기 위해서는 5분을 소유하였다. 그만큼 선생님이 쓴 추천서는 중요한것이다.

평균적으로 11학년 영어 우등반(Honors)선생님과 수학 AP클래스선생님들은 매년 100명이 넘는 학생들로부터 추천서 부탁을 받는다.잘 알지도 못하는 학생들을 위해 수많은 추천서를 써야하는 부담은 엄청난 것이다.
추천서를 통해 선생님이 좋아하면서도 잘 아는 학생과 좋아는 하지만 잘 모르는 학생은 분명히 드러난다. 입학사정관들이 지원자들 사이에 별차이를 발견하지 못할 때 자주 참조하는 것이 바로 교사 추천서인 것이다. 학생들이 선생님을 찾아가서 자신을 소개하고 자신을 알릴 기회를 자주 가져야 하는 또 다른 이유가 여기에 있다.

필자의 경험으로 볼 때 아시안 학생들은 흔히 수줍음이 많고, 내성적이며, 선생님들과 대화를 잘하지 않는다. 이것은 추천서를 부탁할 때 크게 불리하게 작용하는데, 왜냐하면 선생님들이 그들을 잘모르기 때문이다. 아시안 학생들은 흔히 ‘재미없거나’ ‘ (boring) ’ ‘틀에 박힌’ (typical) 학생들로 취급된다.

자신들의 독특한 성격이나 특징을 선생님들께 알리는 노력을 하지 않는다.선생님들은 그들이 무엇에 관심이 있는지, 어떤 재능이나 열정이 있는지를 알수가 없다. 따라서 단지 수업 태도와 학점만 언급하게 되고 이것이 추천서를 재미없게 만든다. 입학사정관 시절 필자가 읽은 아시아 학생에 대한 추천서 가운데 실제로 많은 선생님들이 다음과 같이 솔직히 표현하고 있었다:

“존김은 본인이 가르친 수학에서 A플러스를 받았다. 그러나 솔직히 나는 그를 잘모른다.”

결론적으로 다시 말하자면 선생님들과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것은 단지 대학진학을 위해서 뿐만이 아니라 앞으로 세상을 살아갈 때 교수나 직장 상사들과 긴밀한 관계와 대화를 유지하는 기술이 성공의 관건이 되기 때문이다.

입학사정관들은 누구?

하버드 대학은 30명 정도. MIT는 20명정도의 입학사정관이 있으며 다인종, 다종교, 다지역 출신으로 전공이나 특기 및 취미가 서로 다른 사람들로 구성돼 있어 각 지원서의 내용을 포괄적으로 커버하도록 되어있다. 예를 들어 안젤라 엄씨의 경우 지역적으로는 LA출신으로 음악분야의 특기를 겸하고 있으므로 서부지역의 연주대회 입상전력을 담은 지원자가 있다면 대회의 권위 등에 대해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사정관들의 연중 일정은 8-11원 각 고교를 방문, 우수학생유치와 조기지원에 대한 사정 및 결정을 하고 12월 2월 하버드의 경우 1만 9000여개, MIT의 경우 1만여개의 원서, 즉 사정관당 매일 15시간 정도가 소요되는 하루 40개 분량의 입학원서를 꼼꼼히 읽고 가려내는 작업에 몰두하며 3월까지 합격자를 결정, 발표한다.

심사 경향

입학사정관들의 주된 관심이 10년전에는 학업성적과 리더십, 예체능적 재능 들을 고루 겸비한 다재다능한 지원자에게 집중됐고 6년전부터는 다재다능하거나 또는 올림픽출전 선수출신 등 한 분야에 특출난 지원자에게 쏠렸으나 최근에는 다방면보다 한 분야에서 깊이 있는 자질을 보이는 지원자에게 초점을 맞추고 있다.
에쎄이 주제도 70년대에는 ‘월남전과 패미니즘’에 대해, 80년대에는 30대 전에 ‘백만장자가 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90년 대에는 사회문제와 커뮤니티 서비스, 환경문제 등에 관심이 몰리는 등 시시각각 변화돼 왔으므로 시대사조를 잘 파악하는 동시에 자신만의 구별된 의견을 표명하는 것이 중요하다.

입학이 점점 더 어려워지는 이유

한마디로 학생 인구의 증가 때문이다. 연방교육부 통계에 의하면 12학년 학생 인구가 2008년까지 약 12%, 16-17세 인구가 310만명까지 증가될 추산이다.
편재 대입연령층의 학부모들인 베이비부머 세대의 치솟는 교육열에 맞추어 각종 시험준비학원, 가정교사 및 개인상담가의 증가 등 교육산업계의 확장도 이에 가세하고 있으며 복수지원이 쉬워져 합격률이 떨어진데다 대학측의 마케팅경쟁도 갈수록 치열해 지고 있다. 2001년도 입학률로는 MIT의 경우 1만 511명이 지원해 1632명 (15.5%)이 합격했고, 하버드의 경우 1만 9012명이 지원해 2043명 (10.6%)이 합격했다.

원서작성시 고려사항

입학사정에는 학업성적, 과의활동, 인성 (Personal Quality)등을 고려한다. 각각 1-5등급으로 나누는데 5등급이 가장 우수한 점수다. 서로 비슷한 수많은 지원자가 몰린다는 것을 항상 엄두해 두고 자신만의 독특한 연결주제 (theme or hook)을 찾아 학업이든 운동이든 음악이든 사정관의 인상에 남을 만한 ‘거리’를 뽑아내어 표현해야 한다. 확신이 없다면 조기지원은 삼갈 것을 권한다. 입학경쟁은 정규지원시보다 조기지원 (Early pool)에서 훨씬 심하다는 것을 알아 둘 필요가 있다.

학업 성적

전반적인 GPA보다 어떤 과목을 이수했는가를 더 중시한다. 지원자가 고교학업중 주어진 기회와 자료를 얼마나 잘 이용했는가에 주목하므로 어너틀래스나 AP,칼리지수업 등 어려운 과목을 최대한 많이 듣고 그로부터 좋은 점수를 얻는 것이 중요하다. MIT와 하버드대학 지원자들의 경우 45개정도 AP과목을 이수해 모두 5점을 받는거이 보통이다. SAT점수도 중요하지만 학업을 평가하는 유일한 도구는 아니다. 시험성적 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수학능력 (academic ability)을 보기 때문이다. 학급 등수도 중요하지만 그보다 성적이 점점 향상되는 경향을 보여 주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

인성

인터뷰와 추천서를 통해 주로 파악될 수 있다. 한인지원자들은 선택항목에 대한 중요도를 낮게 두는 경향이 있어 인터뷰를 제쳐놓는 실수를 범하는 경우가 많다. 오히려 특기와 재능을 확인시키는 기회로 삼을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해 탄탄한 준비를 해 두는 것이 좋다. 오히려 특기와 재능을 확인시키는 기회로 삼을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해 탄탄한 준비를 해 두는 것이 좋다. 질문에 답변만 할 것이 아니라 질문을 발판으로 호소력 있는 자기 홍보시간으로 최대한 활용해야하며 인상에 남을 정도로 다른 지원자와 구분될 수 있는 무엇인가를 표현해야 한다.
인터뷰장에 들어가면서부터 시종일관 자세와 표정까지도 신경쓰도록 해야 한다. 또 입학사정시 사실상 매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한인지원자들이 별로 중요하게 생각지 않는 항목중 대표적인 것이 추천서다. 좋은 추천서 작성을 위해 평소에 교사 또는 카운슬러에게 자신의 특기사항을 잘 알려 두는 등 시간과 노력을 아끼지 말고 투자 할 것이 권장된다.

대입에 유리한 고교는 따로 있는가?

공.사립을 불문하고 명문대 진학에 유리한 고교는 따로 없다. 사정관들은 전국 각 고교의 대학 진학 내력을 파악하고 있으며 졸업생중 명문대 입학전력이 없는 학교에서 자격을 갖추어 지원할 경우 오히려 처한 환경에서의 두드러진 자질을 높이 평가하는 경향이 있다.

9학년 이하의 준비사항

과외활동에 있어서는 본인 정말 좋아하고 잘 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차분히 파악하라. 본인이 좋아해야만 잠재력을 최대한 개발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시간을 두고 찾아낸 후엔 끈기 있게 파고들어 그 분야에서 일인자가 되도록 노력하라. 학업은 물론 매우 중요하다. 열심히 공부하라. 특히 교과서뿐만 아니라 일찍부터 많은 책을 섭렵해 사고의 폭을 넓히는 것이 중요하다.

부모의 역할

무조건 남들이 하는 대로 정해져 있는 듯한 (formulaic)과외 활동이나 추세를 따르도록 강요하는 것은 바람직 하지 못하다. 또 명문대 진학을 목적으로 이들을 택할 것이 아니라 자녀가 자연스럽게 잘하며 좋아하는 분야를 스스로 선택하도록 돕고 그 분야에서 뛰어난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기회를 찾아 마련해 주는 것이 중요하다.
한발 떨어져 자녀의 능력을 객관적으로 평가해 소질을 개발하도록 도와야 한다. 여름방학 활동이나 여행계획을 함께 세우는 등 구체적으로 돕는 것이 필요하다. 자녀들이 일상의 생활에서 인상적인 사건 등을 남기는 버릇을 들이는 것은 많은 도움이 된다. 또 자녀들 스스로 지식 확보나 인성개발에 진지한 관심을 갖고 노력하도록 도와야 한다. 대학들은 특징 있는 인성이나 깊은 사고력, 진지한 관심과 열정을 가진 학생들을 필요로 한다.